![]() |
↑↑ 권요안 도의원, 지속가능한 먹거리 체계 마련을 위한 토론회 |
권 의원에 따르면 “전라북도는 2021년 먹거리 기본조례 제정을 시작으로 먹거리위원회 구성,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설립 등 지역먹거리 선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왔다. 또한 “전라북도는 도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을 위한 먹거리 종합계획 및 2024년 시행계획을 올해 연말 수립할 예정”이다.
이에 권 의원은 “먹거리 종합계획 수립을 앞두고 전라북도 먹거리 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먹거리 체계를 확보하기 위해 토론회를 개최하게 됐다”며 취지를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먹거리 전문가를 비롯해 전라북도와 도내 14개 시군 먹거리위원회 위원들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토론회 주제발표에 나선 전북연구원 황영모 선임연구위원은 “먹거리 종합계획의 핵심과제로 지역 먹거리(원물+가공)의 생산력(조직화+생산량+품목)을 높이고 지원 시스템을 갖춰 도 차원의 기획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공공형 관계시장(학교ㆍ공공ㆍ복지급식, 직거래) 공급관리로 조달력을 높여 공공성을 도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먹거리 전략은 참여형 먹거리 거버넌스가 관건으로 추진체계(위원회ㆍ숙의기구ㆍ지원센터ㆍ평가개선)를 잘 갖춰 도와 시군의 정책 실행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원광대학교 김흥주 교수는 “전국 243개 지자체 중 139개 지자체(전북 9개)가 지역 먹거리 계획을 추진ㆍ실행하고 있는데, 정부 지원사업 수주를 목적으로 계획이 수립돼 연구용역 기관이 ‘판에 박힌’ 계획을 남발하고 행정은 형식적으로 이를 수용하고 있다”며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도 종합계획은 먹거리 가치와 철학을 전제로 먹거리 공공성, 먹거리 돌봄, 지역성, 사회적경제 차원의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한국여성소비자연합전북지회 김보금 소장은 “인구변화, 기후변화, 농업생산여건 악화, 육류소비증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먹거리 위기임을 인식하고 전북 먹거리 전략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시군 단위 먹거리 지역 인증제 실시, 먹거리 안전성 점검 소비자 모니터링단 확대ㆍ운영 등 지역 먹거리 안전성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시ㆍ군 먹거리위원회 위원은 “전북먹거리통합지원센터가 시군 센터와 연계해서 먹거리 기획생산체계를 구축하고 광역단위 물류센터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어 “먹거리기본조례에 근거해 먹거리정책책임관을 지정하고 도민들로 구성된 먹거리 숙의기구도 설치ㆍ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권요안 의원은 ”전라북도 먹거리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반이 마련된 가운데 오늘 토론회를 통해 나온 먹거리 정책 방향이 도 종합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