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정린 의원(남원1) |
전라북도의회 이정린 의원(남원1)은 13일 제405회 정례회에서 5분 자유발언에서 “팬데믹이 아닌 속칭 ‘빈대믹’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빈대’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며 전북도와 도교육청의 실효성 있는 대책 개선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전북도는 ‘전라북도 빈대 합동대응TF’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지만, 빈대 취약시설 점검이 60% 정도에 그치고 있고, 빈대 우려시설인 식당·카페 등에 대해서는 홍보 위주의 활동만을 전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도교육청도 ‘빈대 발생 단계별 위기 대응 체계’를 운영하고 있지만, 빈대 출몰로 인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고려한다면 단계별 대응이 아닌 초기부터 전방위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했다.
도교육청의 경우 학교 기숙사만을 대상으로 자체점검을 실시했는데, 학교급식실과 침대·침구류 등이 있는 보건실 등 학교시설에는 자체점검이 실시되지 않았음을 지적했고, 학교 현장의 빈대 관련 사전방제 여부를 학교장의 재량사항으로 하는 것보다는 전문가집단의 지원을 받는 것을 제안했다.
이정린 의원은 “빈대와 관련하여 단순한 기생곤충의 출몰로만 볼 것이 아니라 공중보건의 문제로 인식을 전환하여 감염병 관리 수준으로의 정책적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중·고등·대학교의 기숙사, 보육원, 노인요양시설, 교육시설 등의 집단거주시설뿐만 아니라 독거노인·소외계층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집중적인 방제, 전수점검을 실시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어서 “빈대와 관련하여 비상사태에 준하는 대응책을 준비하는 등 사회적 방역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모색과 개선, 예비비 편성 등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정린 의원은 “`신고-방제-추적관리-확인`이라는 4중 방역시스템을 안착시켜 `빈대 제로(ZERO) 전라북도`를 만들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