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라북도청 |
29일 전북도는 70억 원을 투입해 해양 오염의 주원인이자 자연 경관을 저해하는 해양쓰레기를 신속하게 수거하고 처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강하구(금강하구 등) 및 해안가 등 우심지역(개야도, 고군산군도, 연도, 명사십리, 격포, 등)을 대상으로 쓰레기를 집중적으로 수거할 방침이다.
특히, 어촌마을 환경정비 및 바다 환경지킴이 사업추진을 통해 상시 수거ㆍ처리가 가능한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전담 인력(110명)을 확보해 해안가 등 사각지대에 방치된 쓰레기를 수시로 수거할 예정이다.
또한, 5월 바다의 날 행사와 병행해 도 주관으로 해양쓰레기 밀집구역을 선정하고, 관계기관(시·군, 해경, 수협, 해양환경공단 등)과 합동으로 정화 활동을 펼친다.
아울러 도에서 직접 운영 중인 어장 정화선을 활용해 해역의 침적 쓰레기(폐양식 기자재, 페어구, 어장경운 등)를 연말까지 수거하는 등 어장 환경 개선에도 앞장설 계획이다.
김호덕 전라북도 해양항만과장은 “정화활동을 통해 연례적인 해양쓰레기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며, “이번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서 해양쓰레기를 신속히 수거해 깨끗한 해양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전북도는 해양쓰레기 수거ㆍ처리를 위해 바다지킴이사업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최근 3년간 109억 원을 투입해 총 12,345톤의 쓰레기를 수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