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라북도청 |
21일 전북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도내 식중독 발생 건수는 70건, 환자는 1,064명이며, 환자의 33%(21건, 348명)가 여름철(6~8월)에 발생했다.
주요 원인균으로는 캠필로박터 제주니,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등으로 세균성 식중독이 주를 이뤘다.
이에 전북도는 여름철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6대 안전수칙 실천을 권고했다.
6대 수칙은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음식은 속까지 익혀먹기, ▲물은 끓여 마시고 정수기는 점검·관리하기, ▲보관온도(냉장 5℃이하, 냉동 –18℃이하) 지키기, ▲식재료 및 조리기구 세척‧소독하기, ▲식재료별 조리기구 구분하여 사용하기 등이다.
특히, 음식점 종사자는 주방에서 사용하는 신발과 앞치마를 외부나 화장실에서 착용하지 않고, 설사·복통 등 장염 증상이 있는 종사자는 조리에 참여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김밥 등 조리식품의 포장·배달 판매 시 소비자에게 구매 즉시 섭취하도록 안내가 필요하다.
한편, 전북도는 여름 휴가철을 맞아 피서지 다중이용시설 식품취급업소 위생점검과 코로나19 생활방역 수칙 홍보활동도 병행한다.
7월말까지 고속도로 휴게소, 해수욕장, 워터파크 등 휴가지 주변 조리·판매업소와 보양식 취급 음식점 등 170개소와 식용얼음·혼합음료 제조업소 29개소의 위생을 점검한다.
전북도 건강증진과장은 “도민이 안심하도록 식품업소 위생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도민들도 생활 속 식중독 예방수칙과 방역수칙을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