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라북도의회 임승식 의원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임승식 의원(정읍1)은 6일 제407회 임시회 제1차 정례회 도정질문을 통해, “전북자치도에서 시행 중인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 대부분이 주로 시설물 건축이나 생활인프라 구축, 농촌 및 청년 일자리 사업 등에 치중되어 있다”라고 지적했다.
임승식 의원은 “그나마 올해에는 ‘공공산후조리원 건립’과 ‘소아 외래진료센터 설치’ 등 필수 의료환경을 구축하는 복지사업이 신규로 포함됐지만, 여전히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다”라고 언급했다.
임 의원은 ‘저출생과의 전쟁’ 선포식을 개최한 경북이나 충북, 경남 등 출산, 돌봄, 보육 등의 복지 인프라 구축에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타 시도를 언급하며, 전북자치도 저출생 극복을 위해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적소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장기적 관점에서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한편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2023년도 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정책 사례집`에 따르면, 전북자치도 출산지원정책 예산은 2023년에 347억 3천6백만 원으로, 2022년에 비해 3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17개 광역단체 중 대구, 제주, 울산, 광주 다음으로 낮은 규모로 나타났다. 반면 강원자치도는 출산지원정책에 2,000억 이상의 예산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임승식 의원은 전북자치도가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관심과 의지를 어떻게 예산에 반영해 왔는지 질의하며, 좀 더 과감하고 혁신적인 지원정책을 마련하여 임신부터 출산, 육아, 교육에 이르기까지 자녀출산에 ‘비용’이 들지 않도록, 출산을 희망하는 모든 이들에게 좀 더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