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록으로 만나는 익산의 과거와 미래 |
익산시는 23일 `익산시민역사기록관`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정헌율 익산시장과 도·시의원, 민간기록관리위원회 위원, 기록물 기증자, 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기록관(평동로1길 28-4)은 시민이 기증한 9,000여 점의 기록물을 전시·교육·체험 등으로 만나볼 수 있는 기록문화공간이다.
익산시는 총사업비 약 11억 원을 투입해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 지어진 옛 익옥수리조합을 새롭게 단장하고 기록관을 조성했다.
기록관은 지상 2층, 연면적 484.3㎡ 규모로 기존 사무동과 창고동을 활용해 익산의 변천사, 시민 생활사 등 도시와 구성원의 정체성을 여실히 확인할 수 있는 주제들로 꾸며졌다.
1층은 △상설전시실 △보이는 기록 수장고 △익옥수리조합 금고 △기증자 명예의 전당 등으로 이뤄져 있다. 기록을 통해 삶에 담긴 다양한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고, 일제에 의한 근대 농업의 슬픈 역사와 기록관 조성 과정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2층은 교육 기록물을 주제로 하는 기획전시실과 교육·체험 공간, 기록작업실로 구성돼 있다. 교육 관련 기록은 기증 자료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전시를 통해 교육도시 익산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3층인 지붕층은 목조 트러스 기법이 적용된 맨사드형 지붕의 원형이 보존돼 있어 1930년대 건축물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지붕층은 윤동주의 생애를 그린 영화 `동주`의 촬영지로 활용되기도 했다.
창고동에는 내부에 설치된 사진 기계로 찍은 사진이 큰 화면으로 전송돼 몰임감 있는 체험을 즐길 수 있는 기록실감창고와 기록우체국 등이 조성돼 있다.
기록관은 화~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된다. 자세한 내용은 행정지원과로 문의하거나 누리집에서 확인하면 된다.
시는 기록물 기증부터 명칭 확정까지 시민의 참여로 만들어진 기록관인 만큼 앞으로도 시민이 주도해 만드는 열린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익산근대역사관 △익산항일독립운동기념관 △솜리문화금고 △인화동 근대역사문화공간과 연계하는 익산 근현대사 관광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한다.
한 기증자는 ˝익산의 소중한 기록물이 영구 보존되기를 희망했는데, 시에서 기록관을 만들어줘서 정말 기쁘다˝며 ˝앞으로 이곳에 더 많은 기록물이 모여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후대에 전승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정헌율 시장은 ˝익산시민역사기록관 준공은 개인의 기록이 익산을 상징하는 기록유산으로 재탄생하는 발판을 마련한 의미 있는 순간˝이라며 ˝기록물 기증부터 기록관 건립에 관심과 응원을 보내주신 모든 익산시민께 감사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