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엔사람

김제 개미마을 주민들, 50년만에‘보금자리’찾았다...
사회

김제 개미마을 주민들, 50년만에‘보금자리’찾았다.

기동취재팀 기자 kangpunsu@daum.net 입력 2025/07/09 09:24
김제시, 국민권익위원회 조정에 따라 공유지 매각 완료

↑↑ 김제시 성덕면 개미마을 공유지 매각 완료
[뉴스엔사람=기동취재팀]김제시가 성덕면 개미마을 주민들에게 공유재산을 매각하며, 반세기 동안 이어진 고충 해결에 마침표를 찍었다.

이번 매각은 국민권익위원회의 조정 결정에 따른 것으로, 총 17명의 주민이 주택부지와 농지의 소유권을 확보했다.

이들 주민은 1976년 산림청의 화전정리사업 당시 적절한 보상 없이 공동묘지로 강제 이주당했다.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해온 이들은 대부분 70~80대 고령자이며, 1세대 부모 가운데 생존자는 단 2명뿐이다.

주민들은 지난 2024년 3월 국민권익위원회에 고충민원을 제기했고, 권익위는 주택과 농경지를 감정평가 기준으로 매각하되, 주민들이 대지와 농지로 개량한 점을 반영해 개량비의 30%를 감액한 금액으로 매각하라고 조정했다.

시는 권익위 조정에 따라 지난 2월 6일 주민대표와 정성주 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면 조정을 체결했다. 이후 3월 주민설명회, 4월 김제시의회의 의견 수렴을 거쳐 약 2달간 매각 절차를 완료했다. 시는 그간 마을 진입로 확장, 농로 포장 등 생활환경 개선사업도 병행 추진하며,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힘써왔다. 주택과 농지를 되찾은 주민들은 감격의 심정을 나타냈다.

김창수 개미마을 대표는 ˝내가 살던 집과 땅을 내 이름으로 돌려받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며 ˝50년 동안 고생한 세월이 떠올라 눈물이 났다.˝고 말했다.

시는 이원택 국회의원, 산림청, 전북특별자치도 등과 수차례 현지조사와 협의를 진행했지만, 주민들의 숙원인 경로당 건립과 화전민 기념관 설치 등은 아직 해결하지 못한 데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

정성주 시장은 ˝오랜 세월 억울함을 견뎌온 주민들의 고통에 깊은 위로를 전한다˝며 ˝앞으로도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남은 민원을 해결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공유재산 매각은 단순한 재산 매각을 넘어, 소외됐던 주민들에게 삶의 터전을 되찾아준 의미 있는 행정적 성과로 평가된다.

저작권자 © 뉴스엔사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