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방소멸기금관련 |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인구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한 지자체를 돕기 위해 정부에서 올해 도입(‘지방자치단체 기금관리기본법’ 및 시행령 개정으로 도입)한 자금으로, 10년간 총 10조원을 인구감소지역 및 관심지역 지자체에 투입한다.
투자계획 평가는 기금액 배분을 위한 것으로 행정안전부 기금관리조합의 평가단이 인구감소 · 관심지역으로 지정된 122개 지자체에서 자율적으로 발굴 · 제출한 인구정책 투자계획을 심사해 결정(기금 등급별로 차등 배분_A등급 5곳, B등급 16곳, C등급 48곳, D등급 21곳, E등급 17곳)했다.
이번 평가는 2022년과 2023년 2개 년도에 대한 투자사업 계획을 대상으로 했으며 무주군(인구감소지역)은 ‘일터 · 쉼터 · 삶터가 조화로운 건강한 무주’실현을 위한 △정주인구 증가, △관계인구 확대, △정주여건 개선 전략을 세우고 SMART 생태계 조성을 비롯한 관광 · 생태계 재창조, 농촌 · 의료 · 복지 · 에너지 개선 등 3개 분야 9개 사업을 발굴 · 제출해 호평을 받았다.
세부 사업은 △귀농 · 귀촌인 유치 및 정착을 위한 고랭지 스마트 팜 경영실습장 조성과 △연계 교통 인프라 개선, △4도 3촌 세컨하우스 조성, △농촌지역 에너지환경 개선, △지역거점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기반구축을 위한 군립요양병원 건립 · 운영, △공공보건의료인력 정주형 숙소 건립, △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통합 돌봄 지원체계 구축, △무주관광 활성화와 반딧불 농 · 특산물 홍보를 위한 미디어아트 영상관 조성, △청년 창업 등 역량강화를 위한 청년센터 조성 등이다.
무주군수는 “이번에 확보된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우리 무주가 지역 소멸 위기를 당당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이자 침체된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는 마중물이 될 거라 확신을 한다”라며 “8월 말 기금관리조합 회의를 통해 투자계획이 확정되고 최종 기금까지 배부가 되면 사업별로 예산을 편성, 추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2024년 이후 사업도 철저히 준비해 더 많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