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귀농·귀촌협의회와 간담회 |
이를 위해 무주군은 △귀농·귀촌 전용 상담 전화(1551-6858) 개설, △서포터즈 제도 확대 운영, △귀농·귀촌 기초 자료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입법 개정 건의 등을 본격 추진한다. 특히 주민과 귀농·귀촌인 간 소통을 강화해 지역사회 융화를 이끌어낼 계획이다.
또한 `무주군 귀농·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전부 개정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정비하고, 귀농·귀촌인 전수조사를 통해 정책을 발굴·보완하는 등 실효성을 높일 방침이다.
황인홍 무주군수는 ˝이제는 사람만 유치하는 것이 아니라, 거주 주민과 귀농·귀촌인이 평생 정착해 함께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시대˝라며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정책 마련과 분위기 조성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무주군은 지난 15일 `소통`을 주제로 (사)귀농·귀촌협의회와 간담회를 가졌다. 귀농·귀촌 성과를 되짚고 정착자 중심의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이날 간담회에는 황인홍 무주군수와 김천순 (사)무주군귀농귀촌협의회장을 비롯한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김천순 (사)무주군귀농·귀촌협의회장은 ˝초기 정착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다“라며 ˝협의회가 실질적인 멘토가 되어 신규 정착인이 지역 사회에 잘 안착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경험을 통해 보면 행정적인 지원도 중요하지만, 정착 이후의 삶을 함께 나눌 공동체 기반이 중요하더라˝며 ˝그런 부분에서 협의회가 역할을 해나가겠다”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무주군에 들어와 정착한 귀농·귀촌인은 546가구 948명으로, 무주군은 농업창업 및 주택 구입 융자 지원 등 안정적 정착을 뒷받침했다. 또한 `전북에서 살아보기`, ‘체재형 가족실습농장’ 등 지역에 거주하며 농촌 생활을 체험하는 귀농·귀촌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지난 12일에는 서울 서초구 전북귀농귀촌지원센터에서 `2025년 도시민 대상 귀농귀촌 교육 및 상담`의 일환으로 귀농·귀촌 설명회를 열어 호응을 얻었다.